Department of Social Welfare

사회복지학과

특화된 현장실무 교육의 요람!

최고의 현장 실무 중심으로, 특화된 사회복지학과!

취업에 강한 학과, 동문이 든든한 학과, 입학이 취업으로 연결되는 학과, 다수의 자격증을 취득하는 학과, 수업이 재미있는 학과

  • 14개 사회복지기관 운영으로 차별화

    완전히 특화된 실습 및 취업에 확실한 차별성

  • 탄탄한 취업 동문 네트워크

    1988년 학과 설립, 졸업생 선배가 전 기관 배치

  • 넘치는 장학금

    - 신라사회복지사 인증제 - Best Students Awards - 우수과제수행상 * 매 학기 장학금 지급

교수소개

교육과정

  • 1학년

    • 사회복지학개론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사회복지 윤리와 철학
    • 사회복지와 문화다양성
  • 2학년

    • 사회복지실천론
    • 사회복지조사론
    • 교정복지론
    • 노인복지론
    • 청소년복지론
    • 사회복지정책론
    •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사회복지자료분석론
    • 아동복지론
    • 장애인복지론
  • 3학년

    • 지역사회복지론
    • 사회복지법제와 실천
    • 정신건강사회복지론
    • 프로그램개발과 평가(종합설계)
    • 사례관리론
    • 사회복지행정론
    • 사회보장론
    • 학교사회복지론
    • 의료사회복지론
    • 가족복지론
    • 사회복지현장실습
  • 4학년

    • 한국사회복지론
    • 여성복지론
    • 사회복지상담론
    • 사회복지특강Ⅰ
    • 사회복지특강Ⅱ

SILLA UNIVERSITY

주요프로그램

취득 자격증

졸업 후 진로

  • 지역복지전문가

  • 노인복지전문가

  • 장애인복지전문가

  • 아동·가족복지전문가

  • 여성복지전문가

  • 정신건강 및 의료 사회복지전문가

  • 사회적경제적전문가

  • 공단

교과목안내

1학년 1학기

사회복지학개론(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

사회복지학의 이론과 실천에 관한 지식을 개괄적으로 소개하며 다양한 다른 학문 및 과목들과의 관련성을 이해하게 된다. 사회복지의 주요 개념, 가치와 이념, 발전의 역사를 이해하고, 사회복지학의 이론 및 실천방법, 주요 실천분야 및 정책/제도, 사회복지 연구 및 실천에서의 전망을 살펴본다.

This course provides the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the general knowledge of scientific studies and practice regarding social welfare, guiding them to understand the connection of social welfare with other subjects. After understanding the concepts, values, ideologies and development history of social welfare, students study research and practice methods, the macro and micro sub-fields, policies and institutions, and major practical fields of social welfare.

1학년 2학기

인간행동과 사회환경(Human Behavior and Social Environment)

이 과목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에 관한 다양한 이론들을 학습하여 사회복지에 대한 이해를 돕는데 목적이 있다. 인간의 성장과 발달과정에 관한 여러 이론들에 대한 학습과 함께 가족, 사회, 문화 등 사회환경적 요소들이 인간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들을 검토한다.

The goal of this course is to study various theories on human behavior and social environment an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social welfare. This course is to study theories about human development and other researches on how social environment such as family, society, culture has affected human behavior.